목록여러분의 선택은? (17)
응급수학 - widekey 이야기
여러분은 삶을 살면서 한 번쯤은 이 기로에 놓인적이 있을 것입니다. 잘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내가 못하는 것을 먼저 하는 것이 맞을까요? 쉬운 예로 시험기간을 앞 둔 수험생은 짧은 시간 안에 최대의 효과를 내기 위해 잘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나을지 아니면 내가 부족한 부분을 먼저 하는 것이 나을지 고민을 합니다. 이 논쟁을 여러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거의 절반은 잘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좋다고 하고 나머지 절반은 내가 못하는 것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잘하는 것을 먼저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잘하는 것을 더 잘해서 두곽을 나타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반대로 못하는 것을 먼저 하는 것이 좋다고 답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 우..
'사교육 때문에 공교육이 죽어가고 있다.' '사교육에 대해 제재를 해야 공교육이 살아난다.'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 있을 정도로 국가 차원에서 공교육 살리기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교육 살리는데 앞장 서는 사람들 대부분 계층은 서민입니다. 사교육이 공교육보다 활성화 되면서 사교육을 해야 하는 부유층은 생활에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서민 계층은 곧 생활과 연결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게 되기 때문이죠. * 혹시 필자가 올린 글 중 선행학습에 관한 글을 읽으셨는지요? 아마 이 글이 이번 논쟁을 보는데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면 먼저 이 부분을 살펴봐야할 것 같습니다. 세상 교육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공교육과 사교육! 그렇다면 공교육이 먼저일..
이번 주제는 선행학습에 대해 필요한가 아니면 필요하지 않은가에 대한 이야기로 다루고자 합니다. 선행학습이란 무엇일까요? 선행은 先行으로 먼저 행하는 행위입니다. 따라서 선행학습이란 학습을 먼저 행하는 행위이겠죠? 쉽게 얘기하면 미리 공부하는 것 또는 미리 배우는 것을 말합니다.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 첫 번째로는 현재 배우는 과정을 마스터하고 있고 더 이상 배울 내용이 없기에 현재 과정 보다 앞의 과정을 학습하는 것이고 두 번째로는 현재 과정 보다 앞의 과정을 학습함으로써 현재 과정을 보다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경우입니다. 그러므로 선행학습을 하는데 있어 매우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왜 우리나라에서 선행학습은 당연히 해야하고 안하면 뒤떨어진다고 생각할까요? 아마 이 선행학습을 왜곡하여 사용하고 있기 때문일..
이번 주제는 조기교육에 관해 다뤄보고자 합니다. 조기교육은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이른 시기에 교육한다는 것입니다. '조기'라는 뜻이 이른 시기라는 뜻이죠. 그렇다면 이른시기에 교육한다는 것은 도대체 얼마나 빨리 교육한다는 것일까요? 만 4~5세가 적당하다고 하는 분들도 있고 만 6~7세가 적당하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또 어떤 분들은 생후 3개월이면 가능하다는 분들도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주장을 하는 분들은 그만한 이유와 해당하는 영역에 따라 구분하고 있습니다. 수영은 생후 3개월이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어린 아이일수록 물에 대한 두려움이 적기 때문에 빠르면 좋은데 특히 생후 3개월 이후부터는 스스로 체온조절이 가능하고 목을 가눌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수학은 만 4세가 적기라고 합니다..
얼마전 법정 공휴일에 학원 운영을 제한하는 학원 휴일 휴무제를 도입하도록 국회에 입법 건의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많은 서민들은 이 제도에 찬성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교육시민단체는 학생들의 쉴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 옳다는 판단하에 이 제도에 대해 찬성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중고교 학생들도 이 제도에 대해 찬성을 하고 있습니다. '요즘 공교육이 죽었다.' '사교육비가 많아 서민들이 힘들다.' 등등 이러한 사회적 풍토도 어느 정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요? 그렇다면 이 제도에 대해 찬성하는 것이 맞을까요? 학원업계는 학습 선택권을 제한하는 것이라 반대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들은 오히려 규제를 하게 된다면 개인적 과외가 더욱 더 활성화 될 것이라는 것도 언급하였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으로 이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