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여러분의 선택은? (17)
응급수학 - widekey 이야기
금일 흥미로운 기사이면서 안타까운 기사가 나왔습니다. 바로 ADHD 아이에게 모래조끼를 입혀 효과성에 대한 논란인데요. 여러분은 주위에 ADHD로 힘들어하는 아이, 부모, 그리고 주위 사람들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흔하지 않지만 주위에 흔하게 볼 수 있죠. 아마 지금보다 내일, 내일보다 모레, 이 병을 앓는 사람들이 증가할 것입니다. 이는 사회적 구조 때문인데요. 우선 병의 근원은 학자들마다 다르게 볼 수 있지만 선천적 보다 후천적 교육, 환경에 따라 나타난다고 필자는 보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ADHD의 병을 갖고 있진 않았겠죠. 확실하지 않지만 이 병을 갖게 되는 원인이 있을 것입니다. 이 원인이 부모에게 있을 수 있고, 주위 사람들, 환경 등에 얽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원인부터 우..
예전에 필자는 2017년 9월부터 정규직을 비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학교 교사에 대한 예로) 나름 의견을 제시한 적이 있습니다. 9월이 된 지금 정규직으로 전환하는데 찬반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물론 정부가 처음 발표한 이후로 끊임없이 논란이 된 부분이긴 하지만 점점 현실로 다가오면서 이 부분에 있어 논란은 조금 더 가중된 듯한 분위기입니다.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데 있어 찬성하는 입장에서 바라보면 가장 큰 문제는 차별이라 생각합니다. 기사 본문(임기제 공무원들 "우리도 비정규직"..'정규직화' 요구 분출 - 아시아 경제 김봉수 기자)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전국 지자체 소속 2만여명의 임기제 공무원들이 모임을 결성해 처우개선 및 정규직화(일반공무원화)를 요..
여름이 지나고 나면 시험 시즌이 다가옵니다. 대입 수능, 교사 임용시험, 사법고시 3차 등 다양한 시험이 수험생들을 기다리고 있죠. 이에 여러 수험생들은 여름에 구슬땀을 흘리며 준비하고 또 준비합니다. 특히 교사 임용을 위한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도 다른 수험생들 못지 않게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초등 교사 임용 인원 수의 인원을 줄인다고 합니다. 이에 교육대학교 학생들은 반발이 무척이나 심하게 되죠. 이는 당연한 반발이자 당연한 권리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이에 서울시 교육감께서는 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열었고 인원감축에 대해 교육부에 증원 건의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교육은 이 나라의 미래를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당장 눈에 보이는 경제와 정치보다 눈에 보..
학교란? 영어로는 school, 한자로는 學校로 표현합니다. 학교란 의미는 일정한 목적하에 전문직 교사가 배우려는 대상인 학생들을 교육 실시하는 기관을 말합니다. 현 대한민국 교육법에 규정된 바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대학, 사범대학 등과 같은 대학교, 기술학교 및 기술고등학교, 유치원, 공민학교와 고등공민학교, 특수학교 등이 있습니다. 이외 기능대학, 직업훈련소 또한 학교라고 합니다. 학교는 배우려는 많은 사람들을 위해 생겨났고 이를 통해 많은 사람들의 지식 및 다양한 경험 등을 충족시켜주고 있습니다.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는 나이까지 최소한의 교육을 보장하는 의무교육으로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데요. 현재 우리나라는 초등학교와 중학교까지 의무교육입니다. 교육을 받는다는 것! 아무..
이번 주제는 간호사관학교에 재학중이던 남성이 중퇴한 후 군입대시 재학기간을 인정받는다는 내용입니다. 금남으로 여겼던 간호사관학교에 간호사관학교에 8명의 남자 생도가 처음으로 입소한 기사를 본지가 벌써 5년이나 되었네요. 5년이 지난 지금 국방부는 2017년 7월 13일자로 군인사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고 전해집니다. 주 내용은 이렇습니다. 사관학교를 그만두면 민간인 신분으로 전환되어 군대에 가야하는데 현재로써는 재학기간을 인정받지 못하고, 별도의 병역판정검사 등 완전히 새로운 입영절차를 거쳐야 한다. 반면, 현재 육·해·공군 사관학교나 육군 3사관학교는 1년 이상의 교육을 마치고 중퇴하거나 사관후보생 과정을 중퇴하면 부사관이나 병으로 의무 복무할 때 사관학교 재학 기간의 일부나 전부를 인..
과학과 의학이 발전되면서 인간의 수명은 점차 길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아이들의 숫자는 줄게 되죠. 고령화사회! 옛날(?)에 환갑(만 60세)이면 어르신 소리를 들었는데 요즘에는 젋다는 소리를 듣는다는 어느 한 어르신의 말씀이 귓가에 맴돕니다. 그만큼 나이드신 분들이 많다는 의미겠죠. 예전엔 나이를 드시면 사회를 떠나 쉬면서 여생을 보내게 되는데 근래에 들어서는 나이가 들어도 일을 해야한다는 생각과 인식을 갖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공기관 등에서는 정년을 늘리고 있는데요. 이번 주제는 '정년은 언제까지가 적당할까?'에 대한 이야기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고령화사회가 되다보니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환갑도 젊은 나이가 되는 상황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런데 사회를 떠나 여생을 보내려고 하니 물가는 날로 ..